Q. 상담은 얼마나 할 것인가?
1. 치료의 유형과 관계없이 내담자들 대부분이 단지 6~12회기 동안만 치료를 받는다. 이론적인 치료 탈락률 곡선에 의해 예측된 바와 같이 전체 외래환자의 60~75%가 8회기 이전에 치료를 그만둔다. 치료회기 수에 따른 치료 참여 곡선을 보면, 내담자들의 수가 2회기에서 8회기 사이에 극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 지난 직장에서는 센터의 특성으로 인해 상담 회기 제한이 있었다. 나는 이런 상담회기 제한을 지키는 역할을 하고 있었는데, 열심히 규칙을 지키다보니 나중에는 그 숫자들이 아름답게 느껴지는 지경에 이르렀다.
’10회기 기본 + (상담사와 내담자가 의논하여) 4회기 연장 가능, 만성적 내담자의 경우 (회기 연장 계획을 한 후) 추가 10회(총 24회)만 가능, 그 이상 상담 불가능, 타기관 연계 조치’
이 기준은 다 년 간의 센터 운영에 따라 경험적으로 점차 보완해온 숫자였고, 그 과정에서 나는 회기 연장과 관련한 많은 경우의 수를 살펴보고 어떤 개입이 적절할지에 대해 의논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가지게 되었다.
1) 처음 내담자를 만나서 10회기는 기본으로 해야한다고 약속한다. 급하게 상담을 요청했다가 조금 괜찮아지면 사라져버리는 내담자를 상담 장면에 머무르게 하는 최소한의 만남, 책임, 노력, 기여의 숫자였다. 나도 10회기 이상을 진행한 상담을 ‘심리상담’이라고 이름 붙일 수 있을것 같았다. 내담자들을 10회기 종결을 ‘뭔가 해냈다? 참아냈다? 이겨냈다?’하는 기쁜 마음으로 기다리기도 하고, ‘상담에서 여기까지 다루기로 하고, 남은 부분은 내가 새로 해봐야겠다’하고 마음을 정리하기도 하였다.
2) 신뢰로운 상담관계를 설정하지 못하면, 2회기 정도 하다가 내담자가 연락두절로 사라져 버린다. 또는 어찌 어찌 진행되던 상담이 저항이나 갈등을 만나게 되면 5,6,7,8회기에 10회를 얼마 남기지 않고도 뚝 하고 상담이 끝나버리기도 한다. 종결은 상담사에게나 내담자에게나 쉽지가 않아서 시간이 필요한 그들은 4회기의 연장 기간을 두고 천천히 종결을 하기도 한다. 아직 초심상담사인 나는 이 추가 4회기를 다루지못한 것들을 조금 더 다루고, 내담자가 상담 이후에 돌아가서 잘 지낼 수 있도록 채비를 하는 시간으로 유용하게 사용했다.
3) 심각한, 보다 만성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내담자를 상담하는 선생님들은 14회기와 24회기 사이에서 큰 결단을 내려야했다. 10회기 연장이 어떤 유의미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까? 의논하고 또 의논했다. 그리고 새로운 10회기를 더할 때에는 새로운 목표와 새로운 마음으로 다시 출발하는, 그리고 보다 현실적인 문제들을 봉합하는 단계(병원치료나 장기상담 연계를 위한 다리)가 되었던것 같다. 주변에 자원이 너무도 부족해서 매주 상담사를 만나는 것이 유일한 통로일 때, 상담이 이대로 끝나버리면 내담자가 너무 위험한 심리상태일 때 등등, 센터가 가능한 범위 안에서 내담자 곁에 10번 더 있어주기 위해 24회기 연장이 이루어졌다.
종결과 회기연장의 기술은 타이밍과 내담자-상담자 협의가 필요한 예술같은 의사소통과 구조화의 산물이었다.
Q. 어떤 상담을 할 것인가?
2. TLDP는 내담자가 다른 사람 및 자기 자신과 상효작용 하는 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치료자와 환자 사이에 형성되는 관계를 활용한다. … TLDP는 대인관계적 단기 심리치료다. TLDP의 목표는 환자들이 부적응적 대인관계 패턴을 반복하지 않도록 돕는 것이며, 이는 치료적 관계라는 맥락에서 새로운 체험과 이해를 촉진함으로써 이루어진다.
– 내가 어떤 상담을 해왔는지, 또 앞으로 어떤 상담을 할 것인지 되돌아 본다.
‘찾아온 내담자를 만나 내 어느 부분이 내담자를 붙들 수 있을까 생각한다. 진심으로 내담자가 잘되길 바라는 마음, 아주 기초적인 사람에 대한 애정이 어떤 내담자에게 따듯하게 다가가 앉는다. 정해진 회기 동안 최선을 다해 내담자에게 붙어있는다. 한 땀 한 땀 십자수 하듯 상담을 하면, 이 한 사람이 행복해지고 이 행복해진 한 사람은 더 많은 사람에게 좋은 영향을 미칠 것이다.’
나의 관계 스타일이 그러하다. 내 앞에 앉은 한 사람에게 진심으로 가 붙어 있는 것. (내가 왜 이런지는 모르겠지만, 죽을 때까지 이러고 살것 같다는 예감이 든다.) 이런 나의 관계 특성 또는 나의 캐릭터를 활용한 상담을 해왔다. 그래서 상담자-내담자 관계를 다루는 상담 이론들이 많이 와닿는다. (계속 공부할 예정~~ to be continued)
이런 관심과 이런 경험이 필요했던 누군가는 나와의 짧은 14회기 상담에서 새로운 관계 경험을 하고 돌아간듯 하다.
book: 단기역동적 심리치료(TLDP:Time limited dynamic psychotherapy), Hanna Levenson, 2008, 정남운, 변은희 공역, 학지사의 내용을 부분 인용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