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보관물: schizophrenia

조현병에 대한 짧은 이야기

요즘 조현병과 관련한 사회 문제가 기사화 되는 방식이나 논의되는 방식을 보면서 ‘이건 아닌데’하는 느낌이 들어서 내 경험을 짧게 나눠보고자 한다.

상담실에 조현병을 앓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아이가 정기적으로 전화를 했다. 처음에는 말도 통하지 않고, 일방적인 대화를 이어가는 그 아이가 당황스럽고 또 업무 방해를 하고 있는 것 같아 거슬렸다. 그렇지만 지속적으로 슬픔, 속상함, 어려움, 외로움 등을 호소하기에.. 이야기가 통하지는 않지만 마음 또는 분위기는 전달될 거라는 생각으로, 이것도 하나의 상담자 역할이 아닐까 하는 생각으로, 그 아이의 입장에서 이야기를 듣고 최대한 마음을 진정시켜줄 수 있는 이야기를 해주었다. 그러면 그 아이는 어설프게 알겠다고 말하며, 선생님도 잘 지내시라며 전화를 끊었다. 우리는 그 아이가 조현병을 앓고 있기 때문에 아주 조절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폭력적이고, 통제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그렇다해서 ‘그러니까 병원을 가보라’는 ‘약을 잘 먹고 있냐?’는 대화만을 이어가는건 뭔가 부족함이 있다고 느꼈다. 그 아이도 우리와 다르지 않게 매일 매일 일상의 어려움을 겪어가며 살고 있는 것인데, 더 안타까운 점은 우리만큼 힘과 지지를 얻을 수 있는 지지체계가 거의 전무하다는 것이다. 그래서 얼굴을 모르는 상담 선생님한테 강박적으로 전화를 하는 것이다.

캠프힐에서는 지적 장애를 앓는 아이와 8개월 동안 같이 동고동락을 했었다. 그 즈음 그 아이는 나와 나이가 같았지만 지적 수준은 어린 아이었다. 그 아이는 뇌 발달의 제한으로 인해 감정 조절이 힘들었고, 감정이 통제 불가능한 수준이 되면 폭력적으로 변했다. 그 아이랑 같이 지내고, 그 아이를 관찰하면서 나는 그 아이가 어떤 부분에서 감정이 폭발적으로 튀어나가는 지 알 수 있었다. 그 부분은 우리의 상식으로는 이해가되지 않고, 매우 원초적이고, 아이 같은 부분이었다. 그렇지만 사람이 모두 다른 부분에서 분개하고 다른 감정 곡선을 타듯이 그 아이도 자신 만의 감정 곡선을 타고 있었다. 그 아이도 나도 마음이 평화로울 때는 한없이 평화롭게 우리는 서로를 조율할 수 있었다. 그렇지만 뭔가 그 아이가 불안해 할 만한 변화가 찾아오거나 갑작스러운 침해를 받게 되면 우리의 관계가 단 번에 무너지는것 같은 폭발이 있었다.

조현병과 관련한 기사들을 접하다보니 문득 이 두 명의 아이가 그리워졌다. 그 아이들이 내 마음에 들어왔다 나갔기 때문이고, 또 그 아이들이 지금 이 순간 이 세상에서 어떤 마음으로 살아가고 있는 지 알 길이 없기 때문이다.

조현병(調絃病)이라는 이름은 정신분열증(Schizophrenia)이 주는 부정적 느낌을 줄이기 위해서 대체되었다. 조현병의 치료를 위해서는 현악기의 줄을 고르듯이 사람의 정신 상태가 조율되어야 한다는 지향점을 가지고 있다. 미친 사람으로 규정하여 가두는 방식으로 해결하자는 뜻은 아니다. 드라마 ‘괜찮아 사랑이야’에서 조인성이 치료되는 순간을 떠올려본다. 조인성은 자신이 돌봐야 한다고 느끼는 가상의 인물 도경수를 혼자서 보는 환각을 겪고있다. 모두가 아니라고 하는 믿을 수 없는 진실. 그런데 갑자기 문득 이런 생각이 든다. 조인성이 도경수를 알아온지가 몇년인데.. 도경수는 아직까지 교복차림의 학생인건가? 자신의 환각을 의심하자, 맨발의 불완전한 도경수, 그 비현실이 보인다. 이 순간이 스스로 환각의 모순을 깨닫고, 정신 상태가 조율되는 순간이다. 어쩌다 사람의 마음, 정신상태는 갈가리 찢어지게 되었을까? 갈가리 찢긴 정신상태는 어떻게 조율되어야 하나? 이것이 조현병을 논의하는 출발점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