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rissette(2012) 셀프 슈퍼비전 책 중에서 실전에 ‘뽝’ 쓸 수 있는 부분을 표로 재구조화 하였다.
5장 셀프 슈퍼비전의 행동적 측면을 요약한 것이다.
책에는 각 개념에 대한 정리와 예시 사례가 있기 때문에 더 이해하기 쉽다. 그런데 줄글이라서 기억했다 써먹기가 힘들어서 표로 만들어 내 마음 속에 넣으려고 한다.
상담 시간 50분도 넘겼고, 어버버 헤매이다가 내담자에게 고지할 것도 제대로 고지 못하고, 보호자에게 휘둘리고, 내담자 앞에서 패닉에 빠져 머리털이 빠질것 같이 머리가 윙윙 거리는 상담을 하고난 후에 빈 상담실에 문을 닫고 들어가 조용히 열어보면 좋을 표이다.(ㅎㅎ)
상담의 개인(상담사 자신)내적 측면, 대인관계적 측면, 임상적 측면 3가지로 나누어 생각해보는 것이 유용했다. 순서는 개인내적 측면-> 대인관계적 측면-> 임상적 측면으로 차례 차례 적용해봐도 좋을것 같고, 종합적으로 생각할 때 가장 좋은것 같다.
면접의 개인내적 측면 | 면접의 대인관계적 측면 | 면접의 임상적 측면 |
목표1. 면접에서 느낀 상담사의 감정(실망감, 안도, 두려움, 불안, 분노)을 이해한다. = ‘자기자각’ | 목표1. 임상기록, 오디오, 비디오 자료 검토를 통해 긍정적, 부정적 감정이 일어나는 순간을 포착한다. | 목표1. 임상기록, 오디오, 비디오 자료 검토를 통해 지각-개념-실행기술을 구분한다. |
실천전략
면접 전후 편안하고 조용한 환경에서 자기자각을 시도한다. 호소문제 해결이 아닌 상담자 자신의 개인적 욕구와 관련하여 성찰 시간을 가진다. 문제나 사건에 관한 자신의 관찰기록(감정의 강도와 내용)을 면접 직후에 바로 작성한다. |
실천전략
상담 관계에서 반복되는 대인관계 방식, 도움이 되는 대인관계 방식, 산만함이나 짜증스러움을 유발하는 대인관계 방식을 확인한다. 행동의 순서를 추적하여 관련성을 찾는다. |
실천전략
관찰한 것-관찰한 것과 연관된 생각-뒤이은 개입의 논리적 흐름을 생각해본다. 상담사의 기술, 강점, 자원을 찾는다. |
목표2. 상담사의 감정을 인식한 후에 겪는 긍정적, 부정적인 느낌의 원인을 분명히 하려고 노력한다. | 목표2. 내담자와의 관계를 심사숙고한다. | 목표2. 상담의 단기, 장기 목표 성취와 상담자의 자기성찰 내용을 통합한다. |
실천전략
상담 과정에서 촉발되어 임상 작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상담사 개인의 과거 또는 현재의 문제를 고려해본다. 가계도, 연대표, 자서전 구성이 도움이 된다. 수퍼비전, 자문, 개인상담, 교육자료 검토 등으로 개인적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다. |
실천전략
내담자와의 상호작용 속에서 상담사 개인적 특성이 영향을 미친 행동이나 태도를 검토한다. 면접에서 어떤 변화 단계(참여 단계, 문제 인식 단계, 상호작용 단계, 중재 단계, 마무리 단계)에 있었는지 검토한다. |
실천전략
작은 변화이지만 점차적으로 커져가는 치료의 효과에 초점을 맞추어, 단계적으로 치료 과정을 평가, 검토한다. 사건과 사건 사이, 문제와 문제 사이를 왔다 갔다 하지 않고, 초점을 맞출 구체적 영역을 확인한다. 임상기록, 오디오, 비디오 자료, 수퍼비전 및 자문 내용, 임상 실제를 연결시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