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보관물: 상담 규칙

상담에서 한계(규칙) 설정하기

1. 상담사 자신의 한계 지점을 찾는다 

– 우리는 한계가 침범당하기 전까지, 스스로의 한계 지점을 잘 알지 못한다.  
– 한 번 생각해본다. 나는 어디까지 견딜 수 있는지? (예시: 내담자의 연락, 일정 변경, 자기 개방, 상담실 공간 사용 등)  
– 그리고 자신의 한계 지점이 침범당했을 때의 감정, 생각, 행동을 관찰한다.  
– 나의 한계를 고수하거나, 내담자의 요구를 수용하는 것 사이에서 장단점을 비교해서 합리적인 결론을 도출해볼 수 있다.  

<내담자와의 한계 설정이 필요한 상담 회기 준비
상담에서 자신의 한계 지점이 침범당했다고 느꼈나요?  
한계가 침범당할 때 느끼는 상담사의 경험을 관찰하는 시간을 가졌나요? 
한계가 침범당한 상황을 다시 돌아보며, 내담자와 이야기할 필요성이 있다고 결정했나요?  
먼저, 한계 지점이 침범당한 자신의 경험을 충분히 느끼고, 이해하고, 복잡한 생각이나 감정을 조절한 후에 내담자와의 상담 회기에 참여하세요.   

2. 내담자와 상담에서의 한계를 설정한다 

– 내담자가 한계 설정을 할 수 있는 기분과 마음 상태인지를 살피고, 가능한 순간까지 기다린다.  
– 한계가 침범당했을 때 상담사가 경험한 것을 내담자에게 알려주고, 또한 이러한 이야기를 통해 거절감을 느낀 내담자의 마음을 알아준다.  
– 내담자를 위해서, 또는 타인을 위해서라고 가장하지 않고 ‘상담자 자신’을 위해서 이러한 한계 설정을 하는 것임을 진실하게 밝힌다.  
– 상담사의 한계를 정확히 설명하고, 정확하게 주지시킨다.  
– 이 과정에서 내담자가 느끼는 감정(예: 죄책감, 부끄러움, 두려움, 화 등)과 경험을 충분히 다룬다.  

3. 상담에서 합의한 한계 설정을 유지한다 

– 한 번 정한 한계는 꼭 유지한다: 내담자의 큰 반응이 상담사를 물러서게 할 수 있다. 그러나 한계 설정이 지켜지지 않으면 그로 인한 영향은 쌓이고 쌓여서 관계의 절단으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내담자의 반응을 감당할 수 없어서 상담사가 물러난다면, 내담자는 자신이 원하는 것을 이루기 위해 과도한 감정 표현을 하면 된다는 행동 패턴을 강화하게 된다. 한계 설정이 지켜지지 않는다면, 내담자가 다시 이야기할 수 있는 상태가 되기를 기다려 지속적으로 이야기하거나, 한계 설정이 지켜질 때까지 다음 진행을 미루는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 그러나 한계 설정은 유연하게 수정 가능하다: 한계 설정을 포기하는 것과 수정하는 것의 차이를 잘 이해해야한다. 상황의 변화에 따라 한계 설정은 수정이 가능하다. 한계 설정에 수정이 필요하다면 또 다시 서로 간에 의사소통을 해야하고, 잠시동안 한계가 허용이 되었더라면 그 이후에 다시 설정한 한계를 지켜나가야 한다.   

참고: Loving someone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Shari Manning, 2011 p 85~91(Identifying and Communicating Limits)의 내용을 지침서 형태로 재구성한 글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