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보관물: 시즌3

아저씨

2022.3.8 화낮

로빈이와 함께
무엇을 고쳐주는, 궂은 일을 하는, 힘을 쓰는, 운전을 하는, 기계를 작동시키는
여러 아저씨들에 대해 홀릭하고 있다.
‘아저씨’, ‘아저씨’ 하면서 아저씨를 찾고, 그 존재로 인해 마음의 위안을 얻는다.
따듯한 집에 앉아서 가만히 기다려도 되는 것에 대해서,
어떻게 하면될지 상상도 안되는 일들을 해결해주는 것에 대해서,
감사하고 안정감을 느낀다.

그리고 내 독서 목록의 작가들이 아저씨들임을 깨닫는다.
다소 뒤뚱뒤뚱, 소박한 아저씨들이지만.
나의 무의식이 어디에 기대는지가 느껴진다.

빌 브라이슨
프레드릭 베크만
마크 헤이머

변화

2021.9.28 화이른아침

오래 떨어져 있던 옛곳으로 돌아가는 일
한 달을 매일 여행하는 일
어쩔 수 없는 것들은 놓아두는 일
열심히 다시 돌아오는 일
예전과 더 이상 같을 수 없는 일
당연하던 것들이 당연하지 않은 일
다르게 살고 싶은 마음

여행에서 가장 어려운 파트는, 집으로 돌아와서 이다.
익숙한 배경으로 돌아가 내가 원했던 변화가 지속되도록 하는 것. by Kottler, J.A.(1997) Travel that can change your life.


페스트(1947)

2020.4.4 토오후

감염병에 대한 너무나 많은 각자의 의견들과 가치 판단들 때문에
나는 혼란스럽고, 때로는 지나치게 감정적으로 되어버려서
문학적으로, 고전적인 방식으로, 오래 사람들의 공감을 받아온 메시지로 현재의 상황을 이해해보고자 하였다.

이 책이 좋은 이유는 감염병 상황에서 ‘사람을 그저 관찰’한다는 것에 있다.
몇 주째 평가하고, 옳고 그름을 따지고, 편을 가르고, 미워하고, 미움받지 않으려는(혼나지 않으려는) 애잔한 일상은 너무도 지친다.

“나는 모든 사람을 이해하고자 노력하며, 또 어느 누구에게도 치명적인 적이 되지 않으려고 애를 쓰면서 지금도 여전히 평화를 찾고 있어요.”

제4부 타루의 말

“정직이란 게 도대체 뭐죠?” ” 객관적으로 그것이 무엇인지는 저도 잘 모르지만, 제 경우로 본다면, 자신의 일을 하는 것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제2부 리유의 말

타루
의사 리유
리유의 어머니
계약직 공무원 그랑
기자 랑베르
신부 파늘루
판사 오통
나이든 의사 카스텔
축구 선수 곤잘레스
늙은 천식 환자

이 사람들을 마음에 두었다가 보낸다.

나는 코로나19로 인한 현재의 모습이 사회 현상이 아니라 개인의 모습임을 믿는다.
정보와 뉴스와 다른 사람의 코멘트를 읽다보면, 사회 현상 속에서 불안으로 질식될것 같이 느껴지지만, 그 안에 나는 아직도 생생하게 살아서 나의 삶을 그려내고 있다.
사회 현상에 묻혀버리지 말고, 그 안에서 명명백백하게 드러나고 있는 나, 자신을 이해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누구도 지금 이 순간을 살아가고 있는 어떤 사람을 함부로 평가할 수 없다고 말한다. 그들의 삶, 그들의 인생, 그들의 생각과 판단을 이해하기 전까지.

잊혀진 것들

2020.2.18 화오후

다사다난한 일상을 함께 꾸려가기 위해 곁에 동료가 있고
그들과 희로애락을 나누며 정을 쌓는다.
그렇게 일상을 지내다가,
한 걸음 더 나아가고 싶어서 바쁜 일상을 밀고 나가다보면 잊혀진 것들.
다 어디로 갔을까?
어떤 날은 앞으로 나아가는 것은 더 이상 그만하고, 그냥 일상의 소소한 즐거움이 그리워져
다시 다 되찾고 싶은 마음이다.
내 삶 이쪽 저쪽에 반짝이는 것들을 한 곳에 끌어모아보고 싶은 마음이다.
그 반짝이는 것들은 지금 앞으로 나아가는 중이다.

마음이 우아앙

2020.1.18. 토밤

마음이 우아앙 하면서 터질것 같을 때,
화가 난건데, 누군가가 너무 미운건데,
사실 그건 커져버린 감정 때문에 앞뒤양옆이 안보여서 그렇지…
결국엔 내 마음 속에 정말 빼앗기고 싶지 않은 중요한 무언가가 있다는 뜻이다.

그렇게 터질것 같은 마음은
누군가에게 분풀이를 하거나, 쏟아내버려야 해결이 될것 같지만,
그 방법은 타인에게 큰 상처가 되거나, 그로 인해 스스로에게 다시 또 상처가 될 가능성이 높다.

그 보다는,
내가 뭔가 정말 중요한 것을 원하는 것 같아 보이니
그것을 지키는 것에 집중을 해보자.

좋아하는 것

2019.11.12 화저녁

“여보 왜 살아?” 라고 질문하니,
“로빈이랑 놀려고” 라는 대답.
그렇게 나보고 놀자고 놀자고 하더니, 이제는 로빈이랑도 놀려나보다.

드문 드문 이곳에 찾아오면서,
나는 내 마음가는 대로 살겠다고 말하러 오는것 같다.

운동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그냥 걸을 때 들리는 풀벌레 소리.
할거야 많지만, 다 때려치고 재즈 선율에 맞추어 스르륵 잠자기.
춥고 어두워, 담요를 둘둘쓰고 차를 마신다, MY CHILL MIX를 듣는다.

내가 하는 것이 상담이라고 하면서,
사실을 그 사람들이 좋아하는 것을 찾아주고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을 때.
좋아하는 것을 하며 사는 것이 다만 원하는 것이다.

존중

2019.10.16. 수밤

존중하는 것에 대해서 생각해보았다.
이 정글 같은 세상에서 존중을 이야기하는 것이 혹시나 지구온난화에 녹아버리는 빙하같은 것이 되어버리는게 아닐까, 좌절스럽고 무너지는 마음으로.
너무 약하고 공격받을 구석이 많은 그런 복슬복슬한 마음 덩어리.
그런데 존중하는 것을 포기할 수 없는 이유는, 그게 가장 중요하다고 믿기 때문이다.
우리가 삶을 살아가는 이유는
이 앞에, 그리고 그 앞에 있을지 모르는 무언가를 찾아 떠나는 것이 아니라
태어날 때부터 갖고 태어난 존중받아야할 나의 소중한 무언가를
일생 동안 지키고 빛내다가 가는 것이라고 믿는다.
무엇이 이 약하고 소중한 것을 지키기 어렵게 만들었는지.. 도대체 가늠하기가 어렵지만,
나는 그 아픔과 고통의 부분을 찾아내고, 고치고, 그래서 존중을 지켜내고 싶다.

함께해요.

금빛 나무

2019.9.23. 월밤

해가 짧아져서
잠에서 깨면 어둑하고, 저녁 먹고 산책을 나가면 점점 껌껌해 진다.
그래서 태양이 뜨고 지며 나무에 비추는 빛을 볼 일이 많아졌다.
나뭇잎들이 금빛으로 반짝인다.
그렇게 금빛으로 반짝이다가 단풍이 되는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