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사람은 예민한 감정 때문에 치명적 문제를 일으키고 있는 누군가이고, 나는 그 사람을 아끼고 사랑하여 곁에 있는 당신(동반자)입니다.
- ‘그만 감정에서 빠져 나와!’라고 말하지 않는다: 그 사람의 감정이 지나치고 고통스러워 보일지라도 극심한 감정의 동요는 지금 그 사람이 실제로 겪고 있는 그대로의 경험이다. 그 곳에서 빠져 나오라고 하는것 자체가 가능하지도 않고, 그 사람이 부적절하다는 인상을 주어 더 극심한 감정의 동요에 빠져들게 한다.
- ‘아무렇지 않은 척’ 하지 않는다: 때로는 나의 반응이 그 사람을 더 동요하게 하는것 같기 때문에 나는 그 사람의 신경을 건드리지 않게 최선을 다하며, 그 사람의 반응이 아무렇지 않은 것처럼 반응할 수도 있다. 그러나 그 사람이 언제나 나의 보호 안에 있을 수는 없다. 그 사람이 배워야 하는 것은 이 감정의 동요를 가지고 이 세상을 살아가는 것이다. 차라리, 그 사람이 보일 반응이 두렵다면 자리를 피하는 방법으로 스스로를 보호하는 것이 더 낫다.
- 결국에는 그 사람이 배워야 할 ‘감정 조절을 위한 과제’를 알고 있는다(그리고 지지해준다): (1)속상한 일이 있을 때 그 일로부터 관심을 흐트릴 수 있는 방법을 가지고 있다. (2)감정 상태가 너무 높이 있으면 낮추는 방향으로, 감정 상태가 너무 낮게 있으면 높이는 방향으로 조절한다는 것을 안다. (3)감정이 시키는 대로 반응하지 않도록, 감정과 반응 사이에서 판단을 할 수 있다. (4)동요하는 감정에 쉽사리 흔들리지 않는 탄탄한 삶의 목표를 가진다.
- ‘변화가 고통스러운 일이라는 것’을 알아준다: 불 타버린 마음 때문에 삶의 면면에서 감정적 동요를 심하게 겪는 그 사람을 치료하기 위해 그 불타버린 마음을 다시 열어보는 일은 다시 아프다. 그 사람은 더 이상 고통스럽지 않기 위해서 치료를 받고, 변화를 결심하지만 그 과정은 반드시 아플 것이다.
아이디어는 Loving someone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Shari Manning, 2011 책 47~51p에서 인용된 것이고, 저는 상담 실제 또는 삶에서 적용하기 쉬운 표현과 이미지로 전달하기 위해 글을 씁니다.